
2K25 발매(3월 14일)가 눈앞인데, 이제서야 구작이 될 게임의 모딩을 시작한다고? 뭐, 그럴 수도 있지. <트리뷰트>라는 만능에 가까운 툴이 공개되면서, 2K23 시절에 다소 불만족스러웠던 모딩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는 중이다. (25 버전은 조금 불안하긴 하다. 차세대 콘솔 버전에만 수록된다는 <아일랜드>라는 새로운 모드의 첫 인상은 어쩐지 2K20의 악몽을 떠오르게 한다)
*
준비물
1. 트리뷰트 Tribute
최신 버전은 3.9. 디스코드 트리뷰트 채널에서 다운 가능. 무료. 통합 에디터.
캐릭터, 아레나, 벨트, 네임플레이트, GFX, Props, 음악 등의 추가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유튜브 상 튜토리얼 영상들은 대부분 과거 버전으로 만들어져 있다. 최신 버전은 사용하기가 훨씬 편해졌다. 마이크 타이슨 얼굴은 여전히 압박이지만...
2. 케이크뷰 CakeView
최신 버전은 1.0.0.52224. 디스코드 PWM 채널에서 다운 가능. 2K23 모딩 작업에 사용됐던 CakeTools의 2K24 버전인듯. 유료 멤버십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는데, 페트리온 PWM 창작자 페이지에서 멤버십 결제 없이 최신 버전을 받을 수 있다. (아마도 유료 회원에게 일정기간 선공개했던 것 같다. 아래 CakeHook과 SDB 에디터도 마찬가지) 트리뷰트를 이용해서 에디트를 진행한 후에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Bake 해서 .cak 파일을 생성해야 게임에 적용된다. .cak 파일 내용 보기, 압축 해제와 압축도 가능하다.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지만, 아무래도 제대로 모딩을 즐기기 위해서는 결국 유료 결재가 필요해진다. 페트리온 PWM 창작자 페이지에서 한달 $5.5 멤버십을 결제하면 디스코드 상 멤버십 컨텐츠 접근 자격을 얻는다.
3. 케이크훅 CakeHook
최신 버전은 2.1. 마찬가지로 디스코드 PWM 채널에서 다운 가능. 게임 설치 폴더 안에 덮어씌우기로 설치. 설치 폴더 안에 생성되는 mods 폴더에 있는 .cak 파일들을 읽어들이는 플러그인으로 필수.
4. SDB 에디터 SDB Editor
최신 버전은 1.9. 디스코드 PWM 채널에서 다운 가능. 게임상 텍스트들은 ENG.sdb 파일상 ID 주소를 읽어들이고, 그 주소에 연결된 문구가 표기되는 식이다. 에디트 중에는 직접적인 텍스트가 아니라 ID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에디터 상에서 HASH ID 555075265를 입력하면 게임상에는 ROMAN REIGNS가 출력되는 식이다. 최신 버전 트리뷰트에서는 이름을 텍스트로 입력 가능하게 만들어 놓았는데 설명상 '그냥 텍스트만 넣으면 된다'라고 되어있어도 그 텍스트 자체가 ENG.sdb 파일 상에 존재해야 한다. 유일한 예외는 테마 뮤직 리스트. 게임 상에 존재하지 않는 텍스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5. 사운드 에디터 Sound Editor
사용중인 버전은 2.2.0.0인데, 최신 버전인지는 모르겠다. WWE 2K19 모딩 시절 흥했던 smacktalks.org 사이트에서 다운 가능. TheVisitorX라는 개발자가 만들었는데 현재 업데이트는 종료된 듯하다. 다만 2K24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면 문제없이 사용가능하다. 예전에는 잘 쓰지 않는 트랙(USA1, HARDCORE1 등등)에 새 곡들을 덮어씌우는 형태로 테마를 바꿨었는데, 트리뷰트에서 제공하는 .pck 파일들을 게임내 sound 폴더에 추가함으로써 충분한 추가 슬롯들을 확보할 수 있다. 그밖에도 음악 파일들을 게임상에서 사용하는 음악 포맷인 .wem 파일로 컨버팅하는 기능등을 제공한다.
캐릭터 추가, 의상 추가
새 캐릭터의 추가는 'Create Character', 대체의상 추가는 'Add Attire', 그리고 추가 외의 변경 작업은 'Roster Manager' 를 사용한다. 이것만 명심하면 로스터가 꼬이지 않는다. 새 캐릭터 추가시에 ID 란을 비워두면 트리뷰트가 빈 슬롯을 찾아준다. 대체의상의 경우 게임상에 보이는 의상이 1개 뿐이어도 숨겨진 의상이 있는 캐릭터들이 꽤 있다. (코디의 경우 정장이 숨겨져 있는) 이런 캐릭터들은 대체의상 추가가 번거롭다. 되긴 되는데 로딩 화면에서 아스카 얼굴을 자꾸 보게 될 것이다... 이건 렌더 이미지가 없는 의상들이 모두 언락되기 때문.
캐릭터 추가시에는 <캐릭터폴더(이름은 상관없음)> 안에 ID_Alt_Attir 폴더와 BaseModel 폴더가 들어있는 형태로 준비해 둔다. CakeTools 시절에는 추가의상 한정 BaseModel 폴더가 없어도 가능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없으면 추가의상도 무조건 캐릭터가 깨진다. 때문에 BaseModel 폴더가 없는 모드 파일을 받았다면 원본에서 BaseModel 폴더를 추출해서 함께 넣어야 한다. 이와 함께 .dds 포맷의 캐릭터 렌더 이미지도 필요하다. (캐릭터 파일, 렌더 파일 모두 폴더 위치는 상관없음) 캐릭터 폴더가 ID_Alt_Attire 나 ID_Default_Attire 같은 이름이 아니면 에러가 발생. (실패시에는 반드시 실패한 ID 슬롯 정보를 삭제 후에 다시 추가) 필요한 정보를 제대로 채우고 추가 명령을 내리면 파일들이 트리뷰트 폴더 내 BakeMe 폴더 속에 게임이 필요로 하는 이름으로 정확한 위치에 자동 복사된다.
제대로 캐릭터 추가를 했어도 성별이 바뀐다든지, 신장이 입력값과 다르다든지, 출신지가 계속 다르게 나온다든지 변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이런 캐릭터들은 게임을 실행한 상태에서 POFO 에디터(로스터 매니저 내부에 있음)를 이용해서 해당 정보를 변경해줘야 한다.
테마 추가
테마 추가는 가장 에러 위험이 낮다. 트리뷰트 안 엑스트라 폴더에 있는 음악 추가 튜토리얼에 따라 필요 파일들을 붙여넣고, 사운드 에디터로 테마를 추가. 트리뷰트를 이용해서 추가된 테마의 ID를 개방하는 형식이다. 테마 선택창에서 보이는 이름은 SDB 파일과는 상관 없이 자유롭게 입력 가능하다.
GFX 모딩
GFX의 경우에는 불확실한 부분이 있다. GFX 파일들 위치가 그런데, 나는 BakeMe 폴더 안 Movies 에 캐릭터 이름 폴더를 각각 만들고 그 안에 넣었다. 튜토리얼 영상을 보면 게임 폴더 안 mods 안에 파일들을 위치시키던데, 어쨌든 BakeMe 안에 두고도 제대로 작동이 되었다.
트리뷰트는 예전 모딩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Titantron 과 SS 하위 폴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냥 폴더 하나에 모아두면 된다.
트리뷰트 GFX 매니저 -> ADD 캐릭터 GFX의 ID 자동 배정 명령으로 편하게 GFX 파일들을 추가할 수 있다.
아레나 추가
가장 어려움을 겪었던 건 아레나 추가였다.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 보니 필수인 건 아레나 placeholder 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트리뷰트 디스코드 채널에서 Las Vegas로 검색하면 Fred Lost가 올린 ArenaData.jsfb 파일을 받을 수 있다. 이 파일을 설치하면 GM모드나 마이팩션에 나오는 아레나들 전부 일반 플레이 모드에서도 선택 가능해지는데, 이 아레나들 슬롯에다가 새 아레나를 설치하면 유니버스 모드 충돌이 사라진다. 물론 기본 아레나들을 대체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오버레이, 리플레이 애셋들도 새 아레나 것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냥 빈 슬롯에 아레나를 설치하면 일반 플레이는 괜찮은데, 유니버스 모드에서 충돌이 일어나 새 아레나를 사용할 수 없다. 아마도 쇼 만들기 메뉴에서 오버레이와 리플레이에 에셋을 제대로 추가할 수 없는 한계때문에 발생하는 충돌로 보인다.
ArenaData.jsfb 파일을 설치해서 개방되는 쓸데없이 많은 아레나들의 경우에는 트리뷰트 아레나 매니저에서 해당 아레나들의 Disable Menu Selection 박스를 체크하는 것으로 숨길 수 있다. (이름 앞에 GM이 붙는 것만 안보이게 해도 깔끔해진다) 라스 베가스 트라이아웃 아레나는 남겨두면 재밌게 쓸 수 있는데, ID 858이 플레이 전용이다. 878은 컷신 전용이라 캐릭터가 바리케이드를 그냥 통과한다.
기타
네임플레이트의 경우에는 트리뷰트 네임플레이트 메뉴에서 선수 ID를 입력하고 네임플레이트 파일 이름을 ID_Placeholder.bk2 형태로 바꾸어 BakeMe 폴더에 넣는 것으로 가볍게 이루어진다. 같은 선수라도 ID가 다르면(핀드와 핀드 '23 처럼) 모두 추가를 해줘야 한다. 브레이 와이엇의 여러 버전과 CM 펑크 플레이트를 한개로 모아놓은 모드가 퀄러티가 좋다.
사샤 뱅크스의 입장신은 따로 패치가 필요하다. 디스코드 트리뷰트 채널에서 Samoa Joe 로 검색하면 나오는 사모아 조 타월 패치에 포함되어 있다. 글래스를 벗는 것까지는 모두 패치되는데, 손가락 악세서리의 경우에는 Legit Boss 1 입장신에서만 보이는 듯.
골드버그 입장신 도어플레이트는 BakeMe 안 Props 폴더에 관련 파일들을 넣는 것으로 간단히 추가 가능하다. 트리뷰트 내부에 이미 세팅 데이터가 있기 때문인 듯. 뒤지다 보면 문 한 가운데 플레이트를 추가해 준다는 모드도 찾을 수 있을텐데, 이건 퀄러티가 아주 엉망이다.
트리뷰트에서 제공하는 Props 데이터 파일에는 151번 2x4 각목이 빠져있다. (단순 실수인 듯) 개인적으로 과거 WWF Superstars 아케이드 게임에 등장했던 레전드들은 반드시 추가해서 즐기는데, 사라진 각목을 되살리기 위해서 원본에서 151번 파일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트리뷰트에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했다. (이거 성공했을 때 꽤 뿌듯했음^^)
마지막 오피셜 패치 후에도 결국 고쳐지지 않았던 Use Apron Video 문제도 트리뷰트를 이용해서 패치 가능하다. 디스코드 트리뷰트 채널에서 Use Apron Video 로 검색하면 나오는 ThunderRoseX 의 패치법 참조. 나의 경우에는 뭔가가 꼬여서 Whole Barricade 출력이 안되고 명칭이 계속 바뀌는 문제가 있지만, 어쨌든 에이프런 비디오를 쓸 수 있으니까 됐다!
더 핀드 인트로 무비 패치 같은 데이터 조작 없이 원본 파일을 단순히 덮어씌우는 형태의 패치는 따로 .cak 파일을 만들어 mods 폴더에 넣기만 하면 패치가 가능하다. (핀드의 입장신은 타이탄트론을 변경하는 것으로는 제대로 바뀌지 않는다. 인트로 무비가 따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팬 사인은 BakeMe 내부 Logo 폴더 안에 모두 들어있다. 원하는 사인만 교체하면 쉽게 바꿀 수 있다. 로딩 스크린도 마찬가지. UI 폴더안에 넣는 것만으로 OK. 나는 RAW on NETFLIX 사인과 OTC 사인을 추가해서 사용중.
물론 아무리 간단한 작업도 트리뷰트 작업이 끝난 후에는 CakeView를 이용한 Bake가 필수다.
























'2025 > 게임 '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라트로 (스위치) (0) | 2025.02.15 |
---|---|
MLB 더 쇼 24 프랜차이즈 外 (PS5) (0) | 2025.02.09 |
인디아나 존스 : 그레이트 서클 (PC게임패스) (0) | 2025.01.27 |
MLB 더 쇼 24 마치 투 옥토버 (PS5) (0) | 2025.01.18 |
메타포 : 리판타지오 (스팀) (0) | 2025.01.10 |